직접 경험 해 본 어린이집과 유치원, 어디를 선택 하는게 좋을까
아이가 있는 집은 아이가 커가면서 고민해야 할 것이 참 많습니다.
그중 하나가 교육 기관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제가 직접 국공립 어린이집과 사립 유치원을 보내며 경험을 해 보고 느낀 것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보는 것과 직접 경험해 보고 느끼는 것은 조금 다를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실질적으로 느꼈던 점들을 좀 나눠보고자 합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관리하는 기관이 다르다
어린이집
어린이집은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운영되고 관할 시청에서 관리를 하게 됩니다.
어린이집 입소대기는 아이사랑에서 신청하게 됩니다.
https://www.childcare.go.kr/?menuno=1
메인페이지 >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2024.0503 [한국보육진흥원] 마음성장 프로젝트 5월 스승의날 이벤트 안내 안녕하세요, 한국보육진흥원 마음성장 프로젝트입니다. 5월 스승의 날을 맞이하여 마음성장 프로젝트에서 이벤트를 준비
www.childcare.go.kr
유치원
유치원은 유아교육법 하에 설립되고 교육청에서 관리를 하게 됩니다.
유치원 입학 신청은 처음학교로에서 하게 됩니다.
https://www.go-firstschool.go.kr/PAMS_SS/selectHm10mGridList.do
유치원입학관리시스템 : 처음학교로
'처음학교로'는 유치원 입학을 원하는 보호자가 시간과 장소의 제한없이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유치원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신청하고, 유치원은 공정하게 선발된 결과를 알려줌으로써 학부
www.go-firstschool.go.kr
놀이위주? 교육위주?
보통 어린이집은 놀이위주, 유치원은 교육위주라는 이야기들을 참 많이 합니다.
유치원이 교육위주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어린애들은 놀면서 커야지 일찍부터 교육이라니!"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 역시도 그랬지만 제가 직접 느껴본 바로는 유치원의 교육 위주라는 것은 학습을 의미하는 교육 그 자체이기보다는 다양한 경험을 하며 배우는 교육의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어린이집에서 말하는 놀이위주의 보육은 말 그대로 아이를 돌보아주는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비용차이는?
비용의 경우 어린이집과 유치원으로 나뉜다기보다는 사립기관인지 국공립기관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사립기관은 기본적으로 나라에서 지원이 되는 교육비 이외에 각 원에서 책정된 금액이 별도로 나가게 됩니다.
국공립기관이든 사립기관이든 특별활동이나 행사가 있으면 비용이 별도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국공립 기관이 비용이 더 절감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사립 유치원은 정규 수업 외에 종일반 수업까지 듣게 되면 비용이 추가로 더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유치원도 생각보다는 지원되는 부분들이 꽤 많아서 유치원에서 제공되는 활동의 질 대비 비용은 비싸다고 생각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등원시간의 유연함
보통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이 등하원시간이 더 유연하다고 느끼지만, 지금 다니는 유치원을 생각해 보면 유치원도 어린이집만큼 유연한 등원시간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원마다 연장 보육이 가능한 곳이 있고 아닌 곳도 있기 때문에 이것은 내가 어떤 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됩니다.
어린이집은 보통 오전 7:30부터 오후 7:30까지 운영됩니다. 물론 더 늦은 시간까지 운영되는 어린이집도 있습니다. 맞벌이 가정이 아니면 보통은 오전 9:00-10:00 사이에 등원하고 오후 4:30쯤 하원을 하게 됩니다. 조건에 따라 등하원시간이 조정되는 것입니다.
유치원은 원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현재 재원 중인 유치원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오전 7:30부터 오후 10:00까지 운영됩니다. 정규 등원 시간은 오전 9:00-9:30 정도이고 오후 2:30쯤 정규 하원을 하게 됩니다. 종일반이라면 오후 4:30 이후에 하원하게 되는데 오후 10시까지 운영되기 때문에 유치원도 어린이집만큼 등하원시간이 유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방학기간
국공립어린이집 기준으로 1주일 정도의 방학 기간이 있습니다. 맞벌이가정인 경우에는 방학기간에도 보육이 가능해서 등원을 할 수 있습니다.
유치원은 2-3주 정도의 방학기간이 있습니다. 유치원도 마찬가지로 맞벌이가정인 경우 방학기간에도 등원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전체 방학인 날이 3일 정도 있어서 이 기간 동안은 등원을 할 수 없습니다. 이 부분은 유치원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어린이집은 정규 교육시간이 지나면 보통 자유놀이라고 해서 아이가 하고 싶은 놀이들을 하게 되는데 단조로운 놀이들이 주를 이룬다고 생각합니다. 이외에 특별활동이 있긴 하지만 종류나 횟수가 많지 않은 편인 것 같고 어린이집마다 특성이 있어서 특별 활동도 그 원의 특성에 맞춰서 설정되는 것 같습니다.
저희 아이가 다니던 어린이집은 국공립이었지만 나름 동네에서 활동이 많은 편이었는데도 아이가 커갈수록 단조로운 활동에 지루해하고 아쉬움을 표현하는 일이 자주 있었습니다.
반면 6세가 되어 유치원에 입학을 하고는 어린이집보다 다양한 활동들이 많아져서 아이가 더 만족스러워했던 것 같습니다. 유치원은 정규 교육시간이 끝나고 종일반 시간이 되면 방과 후 수업이나 특별활동을 하게 되고 남는 시간에 자유활동을 하기 때문에 덜 지루할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유치원이 교육위주라고 하지만 초등학생 이상의 아이들처럼 수업을 하는 게 아니라 놀이처럼 하는 수업들이 많고 체육이나 과학 음악 미술 언어 등 다방면으로 재밌는 활동들이 많아서 아이의 호기심도 더 자극하고 성취감도 많이 느끼기에 아이가 더 만족스러워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둘 다 각 원마다의 특성들이나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에 입학 설명회 시기가 되면 관심 있는 원의 설명회를 꼭 들어보고 입학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다니던 어린이집도 무난했고 아이도 적응을 하고 잘 다니고 있었기 때문에 유치원으로 옮기는 것에 큰 고민이 있었는데 유치원의 입학설명회를 듣고 너무나 마음에 들어서 바로 입학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냥 정보만 찾아보는 것과 직접 가서 보고 느끼는 것은 확연히 다르기 때문에 꼭꼭 설명회에 가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국공립 어린이집에 다니다가 사립 유치원에 입학했기 때문에 비용을 조금 더 많이 부담하게 됐지만 비용만큼 다양한 경험들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유치원 교육비로 들어가는 부분이 아깝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습니다.
저희 아이는 어린이집을 다니던 5세부터 태권도를 함께 다니기 시작했는데 아마 어린이집을 계속 다녔다면 어린이집에서 채워지지 않는 아이의 흥미를 찾아 결국 다른 교육기관을 찾아야 했을 것이고 그랬다면 결국 유치원 다니는 것과 비슷한 비용이 들게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다니는 유치원은 국공립 어린이집보다 비용이 많이 들지만 다양한 활동을 많이 하고 있어서 따로 다른 교육 기관을 다닐 필요가 없다고 느껴집니다. 저는 다른 부모님들에 비해 교육에 대한 욕심이 없는 편이라 태권도 말고는 가정에서 가끔 한글이나 숫자 공부를 해주는 것이 전부이지만 아이의 발달에 필요한 교육들이 부족하다고 느껴지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견해지만 직접 다녀 본 입장에서는 어린이집보다 유치원이 훨씬 만족스러운 편입니다.
제 입장에서는 유치원이 좀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경험을 해 볼 수 있어서 좋다고 느낍니다. 그렇지만 어린이집이 보육 위주이기 때문에 아이들 케어가 더 잘되는 것 같다는 의견을 가지신 부모님들도 많이 계신 것 같습니다. 실제로 유치원 못지않게 많은 활동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어린이집들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어린이집이든 유치원이든 어디가 더 좋다는 정답이 있는 게 아니라 아이와 잘 맞고 가치관이 잘 맞는 곳으로 선택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아이의 성향이나 발달 정도에 따라 알맞은 교육 기관을 선택하면 그게 가장 좋은 결정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RT 예매 꿀팁_아이와 함께한 부산-수서 이용 후기, 6호차 추천하는 이유! (4) | 2024.09.04 |
---|---|
[동서울-강원도 양양]아이와 둘이 프리미엄 고속버스 타고 강원도 여행(feat.고속버스티머니 어플) (0) | 2024.07.08 |
아이랑 서울-부산 여행 KTX 예매 꿀팁|5호차 예매 추천하는 이유 (0) | 2024.05.24 |
놓칠 수 있는 지원금 제도|5월,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가능합니다! (0) | 2024.05.11 |
중도 퇴사자, 5월 종합 소득세 신고 기간에 연말 정산 하기 (2) | 2024.05.03 |
댓글